기타 중요한 경마 지식(2/2)
경주마의 보법과 답보 변환(발 바꿈)
말의 보법은 크게 측대보(ample)와 대각보(trotter)로 구분된다. 측대보는 좌, 우측의 다리가 번갈아 따로 움직이는 보법으로 좌측의 전, 후지가 동시에 움직이고 이후 우측의 전, 후지가 동시에 움직이는 2절도 보법이다. 측대보는 말이 달릴 때 상하 움직임이 작아 누구나 편하게 기승할 수 있다. 야생의 동물은 거의 측대보를 사용하고 있으며 경주마의 경우는 특별한 마차 경주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경주마의 보법은 대각보인데 다음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평보-예시장에서 말이 걸을 때 보는 걸음걸이다. 우후지, 우전지, 좌후지, 좌전지 순으로 걸음을 떼는 4절도 걸음으로 표준 속도는 분속110m이다.
2) 속보-경주로 입장 시 보는 대각선 전, 후지를 동시에 움직이는 2절도 운동으로 표준 속도는 분속220m이다.
3) 구보-말이 달릴 때 사용되는 보법으로 앞다리 착지를 기준으로 좌구보와 우구보로 구분된다. 좌구보는 우후지, 좌후지/우전지, 좌전지 순으로 착지하고 우구보는 좌후지, 우후지/좌전지, 우전지 순으로 착지하는 3절도 운동으로 표준 속도는 분속340m 내외이다. 말이 달리는 소리를 ‘따그닥 따그닥’이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구보의 3박자 소리를 나타낸 것이다. 보통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좌회전 운동 시는 좌구보, 우회전 시는 우구보를 한다.
4) 습보-말이 전력 질주 시 나타나는 보법으로 네다리가 각각 따로 움직이는 4절도 운동이며 구보와 마찬가지로 앞다리 착지를 기준으로 좌습보와 우습보로 구분한다. 좌습보는 우후지, 좌후지, 우전지, 좌전지 순으로 우습보는 좌후지, 우후지, 좌전지, 우전지 순으로 착지하는 4절도 보법이다.
습보는 일반적인 ‘교차습보’와 ‘회전습보’로 구분할 수 있다. 회전습보는 양후지와 전지를 시계 방향으로 차례대로 움직이는 보법으로 짧은 시간동안 최고 속도를 낼 때 사용된다. 야생의 동물이 전력 질주할 때와 경주마의 경우는 외측의 선행마가 선행을 나서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치고 나갈 때 또는 발을 바꿀 때 사용한다.
경주마의 보법을 알아보는 이유는 앞다리 중 좌, 우 어느 쪽이 걸음을 주도 하는가를 알기 위함이다. 좌구보(좌습보)는 좌전지를 쭉 내뻗고 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좌전지가 가장 힘이 많이 들고 또한 충격이 크다. 우구보(우습보)는 좌구보(좌습보)와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상식적으로 경주마가 잘 달리기 위해서는 좌, 우 다리를 적절히 번갈아 사용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말이 많다.
다리를 바꾸는 행위를 답보 변환 (발 바꿈)이라고 하는데 서울과 부산 경마장처럼 좌회전하는 경마장에서는 곡선 구간에서는 좌구보(좌습보) 직선 구간에는 우구보(우습보)를 사용한다. 실제 경주에서 결승 직선 구간에 들어서면 보통 우습보로 발 바꿈하여 전력 질주하여야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 이러한 발 바꿈이 원활하지 않는 말은 마체의 좌, 우 균형감이 나쁘고 운동기 질병이 많아 경주마로서의 수명이 짧다.
경주마의 혈통
경마는 혈통의 스포츠로 불릴 정도로 혈통이 중요하다. 더러브렛은 17세기 영국에서 경주 능력이 우수한 말을 발굴하기 위해 영국 토종 암말과 아랍 수말을 교배시켜 탄생한 품종이다. 그 이후 1793년에 최초로 영국의 더러브렛 혈통서가 발간되었고 이것이 전 세계 더러브렛 혈통서의 모델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1993년에 더러브렛 혈통 등록을 시작하였고 1998년에 더러브렛 한국 혈통서가 국제 공인을 받았다.
씨수말은 통상적으로 조숙형과 만숙형으로 구분한다. 조숙형은 자마들이 성장이 빠르고 2세 때부터 경주 성적이 나고 거리 특성은 대체로 중, 단거리에 적합하다. ‘메니피’와 ‘포리스트캠프’가 대표적인 조숙형 씨수말이다. 만숙형 씨수말로는 ‘인그란디어’와 ‘호크윙’을 들 수 있는데 자마들이 3세 이후에 능력을 발휘할 경우가 많고 대체로 거리 적성은 중, 장거리 형이다. 서울의 국산 대표마인 ‘지금이순간’(부마 ‘인그란디어’ 모마 ‘솔마루’)은 2세와 3세 초반까지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지만 3세 중반부터 비약적인 발전이 나타났다.
씨수말의 능력은 자마들의 경주 성적이 제일 중요하다. 씨수말 순위는 보통 자마들의 해당 연도 경주에 출주하여 거둔 수득 상금의 총액을 합산하여 정한다. 출주 자마 수가 많은 씨수말이 유리하므로 객관적인 씨수말의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출주 자마 당 평균 수득 상금 지수(Average Earning Index)가 개발되어 사용된다. 경주마의 혈통 이론으로 △닉(nick)이론-씨수말과 씨암말 혈통의 친화성을 말하는 것으로 특정한 혈통이 배합될 때 우수한 경주마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이론. △X-Factor 이론-경주능력에 큰 영향을 주는 대형 심장과 관련된 유전자는 X염색체를 통해서 전달된다는 이론 △도시지(Dosage)이론-경주마의 능력을 스피드와 스태미나 2가지로 구분하여 유전적으로 어떤 능력에 치우쳐 있는지를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측정하는 이론 등이 있다.

:이미지를 누르시면 도서소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